회원작품 | Projects/Neighborhood Facility(149)
-
무수울 카페 2022.5
Musuul Cafe 도봉산 아래 자락에 위치한 카페 무수울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어울리는 1960년대 목조주택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공간이다. 서울의 도심지 사이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듯 한적한 시골집은 지나가는 사람들의 시선과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무수울 카페는 커피와 간단한 브런치를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작은 카페로 기존의 목조주택의 틀에 실내 벽체를 모두 철거한 오픈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프레임 없는 창을 이용해서 외부의 자연풍경을 바라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고, 작은 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하고자 했다. 내부 마감은 기존의 부재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목조건물의 특징인 목조 트러스와 지붕은 70년의 세월을 지나면서 노후화된 부분들만 보수, 보강하고, ..
2023.02.19 -
윤슬빌딩 리모델링 2022.4
Yunsul Building Remodeling 프롤로그 도시가 주는 이미지는 생각보다 많이 혼란스럽다. 수많은 형태와 다양한 외부 마감이 각자 자신의 건물을 돋보이려 서로 경쟁하지만, 도시적인 컨텍스트에서 보면 형태의 혼란과 복잡함이 가중된다. 가장 순수한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면 도시의 혼란함을 조금이나마 정제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건물의 순수한 기하학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리모델링으로 인한 구조적인 변화를 입면의 변화 요소로 이용하였다. 윤슬-강물 위 햇빛의 반짝거림 처음 내 눈에 들어온 건물은 지어진 지가 38년이 된 평범한 타일 외장 마감의 근린생활시설 건물이었다. 그러나 자세히 보니 여느 건물과는 다른 느낌을 받았는데, 아침햇살이 매우 풍부하게 건물을 비추고 있었다. 대로변에 접한 동향의 이 ..
2023.02.18 -
우현제(宇晛第)Ⅱ 2023.2
WOOHYUNJAE Ⅱ 동네와 연결되는 밝고 열린 사옥 “마당과 계단은 길이 되고 방이 되어 마을 주민과 건축이 친숙하게 연결되기를 희망해 본다” 덕정역에서 덕정 서희스타힐스 아파트 단지 방향의 코너에 위치한 꼬마빌딩 ‘우현제(宇絃第)’는 양주시 역세권 개발로 인해 이전하는 사옥이다. 주변 마을에는 오래되고 낡은 단독주택들이 많아 예스러운 동네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조용하고 한적한 곳이다. 덕정동 도시재생마을과 인접해 있으며 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이웃과 어울리는 건축물로서 내부는 크게 임대공간과 건축사사무소 사옥공간으로 구분된다. 외관의 밝은 노출콘크리트와 큐블록 담장은 주변과 어울리면서 알루미늄 창호와 어우러져 세련되고 도시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재료다. 지상 1층 상가 좌측에 있는 외부 마당은 ..
2023.02.17 -
S 갤러리 2023.2
S-GALLERY 대지 _ 대지는 서울 숲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일반주거지역이다. 일조권을 적용받고 있고, 가각전제가 되어야 하는 대지이다. 두 개의 큰 법적인 요소가 건물의 형상을 만들어내는 출발점이 되었다. 일대의 여러 상권이 매우 발달해 있고, 메인 가로의 시점이자, 중심점으로서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대지가 갖는 물리적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대지에 건축주가 운영하는 소규모 사설 갤러리와, 주거를 담는 프로젝트이다. 형태 _ 가각전제의 방식을 기존의 일반적인 날카로운 둔각의 기하로 풀지 않고, 곡면 처리하여 부드러운 형상을 통해 거리에 시지각적인 유연함을 부여하고자 했다. 전체 동단지의 입구의 위상을 가지며 메인 가로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대지이기에, 가로로 열린 개구부들과 함께 형..
2023.02.17 -
은행나무(誾烆娜廡) 2023.2
Yeoksam Commercial Renovation 기존에 카센터와 우유대리점으로 사용되던 건축물은 자그마한 근린공원(역삼 은행나무 공원)을 바로 길 건너에 두고 있었다. 리모델링될 건축물이 공원을 비롯해 인접한 장소들에 어떻게 하면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시작되었다. 공원은 밤이 되면 많이 어두웠는데, 건축물의 정면이 이러한 공원을 밝히는 장치로 활용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 입면의 창을 통해 나온 빛들이 어두운 공원을 감싸며 다다를 수 있는 형태로 계획했다. 처음에는 입면 전체가 조명이 될 수 있게 계획하였으나, 비용 등의 현실적 이유로 적극적인 실현은 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리모델링된 건축물과 공원은 여전히 단단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런 관계성에서 도출된 곡면..
2023.02.17 -
cafe trigo 2022.3
cafe trigo 1. 데자뷰(deja vu)_인연 대상지는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작가 이효석 선생 생가가 있는 봉평면의 메밀밭 중 하나이다. 처음 대지를 보고 왠지 낯익은 느낌이 들어 기억을 더듬어보니, 십여 년 전 가족여행 중에 메밀꽃 축제를 구경하면서 거닐었던 그곳이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어쩌면 그때부터 인연이 시작되었는지 모르겠다. 2. 기하학(geometry)_삼각형 대상지는 세 개의 필지가 합쳐진 부정형 토지이다. 대지 선형을 이루는 선들을 가져와 걸러내고, 단순화시키니 삼각형이 되었다. 무질서한 대지의 선들에 질서를 부여하기 위해 정삼각형 매스를 제안하였다. 다행히 메밀꽃 씨앗이 띄는 삼각형 형태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고민하던 건축주에게 정삼각형 매스는 좋은 대안이었고, 흔쾌히 ..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