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Neighborhood Facility(149)
-
수연목서(修硏木書) 2021.9
Woodworking & Reading Space ‘SOOYEON’ 사람, 프로그램 건축주는 사진가와 나무공예 디자이너 부부다. 목수였던 장인에게 이어받은 오래된 목공 도구를 살려 취미를 넘은 안목과 전문성으로 목공방을 운영하고 있다. 건축주 부부는 목공 작업을 할 수 있는 목공예 공방과 나무, 사진, 건축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책과 공간을 매개로 차 한 잔을 나눌 수 있는 작은 갤러리 겸 북 카페를 요청하였다. 여행을 통해 만난 남편 건축주는 산의 우직함과 나무의 솔직함을 닮은 성격으로 이해되었고, 그의 눈을 통해 표현된 사진 또한 그러하였다. 내가 이해한 남편의 성향과 부인 건축주의 나무와 책에 대한 관심과 섬세한 안목에 힘입어 그들의 희망이 건물의 공간에, 형태에, 재료에, 디테일에 스며들었다. 따라..
2023.02.09 -
예산 카페 제2막 2021.9
Cafe Act 2 예산 국도변에 접한 평행사변형의 대지로, 봄의 벚꽃이 매우 아름다운 대지에 젊은 건축주 부부의 카페 신축을 계획하게 되었다. 국도에 접한 대지의 길이가 좁아 건축물의 인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박공 모양의 통창을 계획하여 야간에 조명이 주는 시선 이동을 유도하였고, 이를 통해 실내 자연광을 유입하여 채광이 풍부한 실내공간을 연출하였다. 초기 설계계획은 벽돌 타일을 통해 매스(덩어리)가 주는 차분함을 주려고 했으나, 공사 예산과 주변 환경(건축물, 경관)을 고려하여, 밝은 화이트 색상을 통해 주변 풍경과 대비될 수 있도록 최종 결정되었다. 영업 시설로서 164제곱미터의 작은 내부 공간을 보완하기 위해 마당과 주변 경관을 활용한 야외공간을 연계하도록 계획하고, 각각의 공간에 색상과 재료..
2023.02.09 -
Cafe KLITZ 2021.9
Cafe KLITZ Prologue 카페 클리츠가 위치한 삼어지구는 김해시 경계에 위치한 도시개발 구역이다. 지역개발이 그러하듯 이곳 또한 무미건조한 건물들로 빠르게 채워지기 시작한 신생 도시조직이었으며, 프로젝트는 그 안의 작은 카페를 계획하는 것이었다. 건축주의 요구는 간단했다. 본인이 운영하는 바로 옆 셀프세차장의 부설 카페 기능을 바탕으로 100제곱미터 이하의 작은 바닥면적을 가질 것, 그리고 흡사 창고와 같은 간결한 디자인을 원했다. Phase1 : 작지만 넓은 공간 제한된 바닥면적으로 인한 제한된 테이블 레이아웃과 테이크아웃 위주로 운영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벗어나고자 내부 면적과 동일한 외부 데크를 계획하였다. 실내를 구성하는 바닥 슬라브와 한쪽 벽면을 그대로 연장한 데크공간은 이용자로 하여..
2023.02.09 -
세종대학교 캠퍼스타운 거점센터 2021.8
Sejong University Campus Town Center Campus Town 캠퍼스타운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 중 하나이다. 대학의 물적, 지적, 인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청년자원과 지역 간의 협력을 이끌어내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다. 한마디로 청년들과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어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드는 것이다. Program Jenga 거대한 직육면체 Mega Block(12,200×2,440×2,950)을 교차하여 쌓아 올림으로 만들어지는 형태와 구성을 활용한 공간 구축. 나대지를 활용한 도심 속 테라스 대학교와 인접한 주거지는 아주 옛날부터 학교 조성을 위한 옹벽으로 단절된 상태이다. 상권의 확장과 무분별한 숙..
2023.02.08 -
나주 스테이케이션 202108
Naju Staycation 부지는 전라남도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다. 건축주는 이곳에서 도시 생활자들이 다양한 문화체험을 매개로 교감하고, 잠시 머무르며 쉴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 건축물(스테이케이션)의 첫인상은 언뜻 닫혀있는 듯 보이며, 그 흔한 간판 하나도 찾기 힘들어서 외관만 보고서는 쉽게 그 용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이다. 1층 상업공간과 2층, 3층 주거공간을 포함한 이 건축물은 주변의 건축물들이 답습하던 관습적 표현방식에 거리를 두고 독자적인 시그니처로 고고한 인상을 풍기며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단일 재료의 외벽 마감, 제어된 창호 계획, 엄격한 면 분할을 통해 만들어진 외관 이미지는 주거공간과 상업공간을 구분 짓지 않고 일체화된 형태미를 보여준다. 요란한 가로경관에는 절..
2023.02.08 -
라티스 빌딩 2021.7
Lattice Building 건물이 위치한 광주 동구 동명동은 원래 고급 개인주택들이 자리하고 있던 곳에 조금씩 빈집들이 생겨나고 그곳에 젊은이들이 좋아할 만한 카페들이 들어서면서 활기를 더해가고 있는 동네이다. 또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광주를 대표하는 종합대학교인 ‘조선대학교’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일정한 문화 수요가 집중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입지조건의 대지에 1, 2층의 카페 및 독립서점, 3층 단독주택이 합쳐진 복합 근린생활공간을 만든다는 것은 건축사로서 매우 매력적인 프로젝트가 아닐 수 없었다. 직접 운영하고 거주할 1, 2층의 카페 및 서점과 3층의 단독주택을 함께 신축하고자 했던 건축주에게 이 건물은 굉장히 사적인 개인 건물이자 누구든 편하게 드나들 수 있어야 할 공공건물이어야 ..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