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작품 | Projects/Neighborhood Facility(149)
-
논현 1021 2019.5
Nonhyun 1021 1970년대 강남 개발이 시작되면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한 아파 트 단지와 단독주택들이 도시의 구석들을 파고들었다. 건물의 수명이 물리적으로는 100년도 넘지만 개발 이익과 경제 논리에 의한 수명은 고작 30년 남짓이라는데, 이 숫자는 바로 강남에서 나온 통계가 아닐까 싶다. 강북 인구의 강남 이전을 위해 만들어진 제3한강교, 한남대교를 넘어오면 처음 만나 는 신사역 사거리. 여기서 도산대로, 강남대로를 통해 언덕들, 골목 안쪽으로 진입하 면 수많은 주택들이 자리하고 있고 이미 수명이 30년도 안 되었을 2000년대 전후부 터 변신이 시작됐다. 강남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신사동, 논현동 일대에는 디자인, 영상, 광고 및 각종 벤처 업종들이 모여들었고, 종로나 강..
2022.12.21 -
올림픽공원 옆 가게 _ 경량철골 근생-K1 2019.5
Olympic Park neighbourhood Shop-K1 동계올림픽공원 옆 대지로 가능한 지구촌 사람들의 미적 공감을 얻고자 했는데, 이를 위해 고민한 것 은 첫째, 구조, 둘째, 외부 마감재였다. 구조는 산업화 시대 가장 범용적 이었 던 조립식 건축(각파이프, C형강)의 경량철골조로 결정했다. 마감재는 미니멀과 심플함의 추구로 아 연도금판넬로 선정했다. 시공 과정에서 지붕 트러스의 경사각 및 구법이 당초 예상한 미적 조화도에는 부족하여 지붕틀을 모 두 철거 후 재설계와 재시공을 하는 과정이 있었다. 이때 건축주와 시공사의 빠른 의사결정이 있었 다. 이점 깊이 감사를 드린다.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요약하면 다음 3가지와 같다. ▲임대상가 가성비를 고려해 최소 공사비로 임대 상가수와 임대면적을 효율적으..
2022.12.21 -
옐로우나이프 2019.3
Yellow Knife 옐로우나이프는 위치는 부산의 산복도로에서 북항을 내다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이곳은 과거의 번영기를 뒤로 한 채 외면받고 있다. 그리고 공적자금을 투입하여, 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장기간 진행해 왔지만 그 효과가 드 러나지 않고 있다. 부산의 중요한 도시 특징인 산복도로를 현재의 시점에서 장소적, 경제적, 도시 적으로 분석 하여 해법을 제시하고 싶었다. 이곳의 1층 상가 임대료는 너무 저 렴하고, 상권도 형성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다. 주거 환경도 열악하여 전입인구 가 없는 상황이다. 이렇게 방치되었던 건축물을 전체로 리모델링해서 새생명 과 그 가치를 올리는 실험이다. 일반적으로 상가주택은 1층이 상가이며, 상층부로 갈수록 주거로 구성된다. 하지만 부산의 산복도로에서는 새로..
2022.12.16 -
3.6.9 성곽마을 예술공방 2019.3
3.6.9 Fortress village Art Studio 마을 속 창작 공간 369마을은 인근에 공연 공간이 많은 대학로가 있고 성북천과 성곽주변으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예술과 문화가 있는 곳이다. 특히 한성대 예술대학 학생 들과 지역 예술인들이 주민들과 협력하여 여러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 동네 다. 마을 재생 활동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이용 하여 특색 있는 성곽마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예술공방은 60여 년 된 낡은 주택을 리모델링해 만들었는데, 예술인들이 자기 만의 고유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 작업장으로 쓰일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예술가들이 고즈넉한 환경 속에서 일상생활을 하며 창작활동을 펼칠 수 있도 록 작업공간과 함께 숙식공간이 마련됐다. 그리고 예술공방은 작..
2022.12.16 -
3.6.9 성곽마을 사랑방 2019.3
3.6.9 Hanyangdoseong Neighborhood Village 369성곽마을 터 이야기 삼선동1가 369성곽마을은 낙산자락 한양도성에 인접한 곳으로 북사면에 형성 된 구릉지형 주거 밀집지이다. 접근성이 좋지 않고 도시기반시설이 열악한 데다 노후 불량주택이 많아서 2010년 전면 철거 후 새로운 주거지로 변하는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2013년 주민동의에 의해 재개발 대신 마을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도시재생 사업방식으로 전환됐다. 여러 차례 계획대지를 방문하면서 이 마을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다. 개량한옥에서부터 최근에 지어진 다세대주거까지 다양한 주거유형이 혼재되 어 일관된 맥락 없이 오히려 복잡해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다르게 보면 급격 한 도시화 ..
2022.12.15 -
루치아의 뜰 2019.3
Lucia's Earth Lucia's Earth 오래된 도시 공주의 구도심에 위치한 은 1964년에 지어져 올 해 나이가 50이 되었다. 그리고 뜰 옆으로 방 두 칸, 부엌 한 칸, 다락 한 칸, 다 합해 33제곱미터 정도 되는 집이 한 채 놓여있다. 50년 전 어떤 선량하고 가난한 가장이 아내와 다섯 명의 아이들과 함께 평생 살 아갈 집을 짓기 시작했다. 그런데 준비해놓은 재료가 부족해서 짓다가 멈추고, 재료가 모이면 다시 집을 짓다가 떨어지면 또 멈추며, 무려 삼년동안 집을 지었 다. 그리고 그 가장은 허무하게도 집을 짓고 고작 삼년 살고 세상을 떠났다. 집에 남겨진 아내와 아이들은 열심히 집을 가꾸며 살았다. 아이들은 다 커서 큰 도시로 나갔지만, 아내는 작은 마당과 담 옆으로 길게 만들어진 화단..
202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