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린생활시설(187)
-
황학동 옥수수집 2023.5
Corn-row House 신당동 중앙시장은 동대문까지 이어지는 큰 시장으로 전통시장 역사에서도 중요한 장소이다. 많은 사람이 오가고 시장의 활기가 넘치는, 길이 광장으로서 역할 하는 공간임을 알려주는 곳이다. 시장 아케이드에 들어서고 ‘옥경이네 건생선’이 있는 모퉁이, 그러니까 인파가 몰려있는 첫 교차로 서쪽으로 향하면 대상지가 있다. 대부분 30년 이상 된 2층 건물들이 보이고 간혹 4층 규모의 건물도 연식은 비슷하게 생각되는 길이다. 최근 중앙시장 서쪽 맞은편 길에 ‘주신당’을 중심으로 흥미로운 식당과 카페가 들어서고 있다. 기존 건물 공간을 수용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채우는 방식. 오래된 도시 사이사이 특색을 갖춘 내공 있는 가게들이 화제가 되고, 사람들은 숨은 장소를 찾아 줄지어 방문한다. 시장이..
2023.05.19 -
Kelk haus 2023.3
Kelk haus 시작 이 프로젝트의 건축주는 독일로 장기간의 출장을 떠나기 직전 한 번의 상담 후 온라인을 통해 설계과정을 함께 진행하였다. 두 자녀를 둔 부부는 잔디가 덮인 너른 마당과 계단이 있는 독일 집에서 코로나로 인한 격리 생활에도 큰 어려움을 모르고 지냈다. 아들은 “축구를 할 수 없는 것은 집이 아니다.”라고 했지만 ‘켈크하우스’는 겉보기와는 다르게 내부에 아주 특별한 계단과 공간을 갖추고 있다. 구조 이 집의 구조는 중목구조이다. 서울 중구의 협소한 삼각형 대지 위에 지어진 집은 여느 협소주택처럼 정면을 볼만한 곳이 딱히 없고, 사방이 집으로 둘러싸여 있다. 좁은 골목길로 이어진 도심에서는 무엇보다 빠르게 집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구조에 공장 생산된 중목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공기를 ..
2023.03.17 -
성수 wave 2023.3
Seongsu wave 서울숲 개장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한 성수동은 기존 오래된 동네의 모습들을 재발견하고 유지하는 것에서 가치를 갖는다. 1980~1990년대 늘어나던 서울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다세대 다가구는 최대한 많은 세대가 살 수 있도록 만들어졌고, 그로 인해 지하부터 반지하, 지상까지 입체적인 구성이 만들어졌다. 이는 한편으로 조잡스러울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가로의 풍경을 지루하지 않게 다차원적으로 만들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가로 풍경과 차 한 대가 지나가는 정도의 도로 폭이 만들어내는 스케일, 그리고 당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붉은 벽돌의 외장은 사람들이 친숙하고 편안하면서도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해 주었고 이것이 성수동의 정체성이 되었다...
2023.03.17 -
초당동 곶감집 2023.3
Dried Persimmon House 강릉 곶감과 초당 초당은 허균·허난설헌의 생가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지만 부친인 허엽이 초당두부를 만들어 지금까지 두부마을로 유명한 곳이다. 강릉지역은 예로부터 집집마다 감나무 한 그루가 마당에 있어 가을이면 감을 깎아 처마에 주렁주렁 걸어 곶감을 만드는 풍경을 볼 수 있었고, 곶감을 잘 말려 다듬어 싸리나무 가지에 꽂아 곶감시장에서 거래하였다. 층마다 마당을 둔 상가주택 신축부지는 초당마을의 중심부가 아닌 서쪽 외곽지역으로 도로가 신설되면서 형성된 대지이다. 도로의 방향에 따라 건축물의 주 방향은 서향을 향하고 주거의 방향은 남·서 방향으로 배치하였다. 대지 출입구에 주차장을 두고 건축물은 동측으로 배치한 후 주차장 상부에 카페와 주택에서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테라..
2023.03.17 -
Y2 빌딩 2023.3
Y2 Building 변화하는 주택가 풍경 연희동은 서울의 대표적인 고급 주택가다. 현재는 신촌과 홍대에서 형성된 상권이 확장되면서 주택가의 평온한 분위기 속에 활기찬 상업공간이 다수 형성되며 지역의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다. Y2 빌딩은 메인 도로에서 떨어진 언덕에 형성된 주택가에 자리한다. 경사에 따라 층층이 높은 벽과 담으로 둘러싸인 폐쇄적인 주택가였다. 그러나 해당 부지가 경사지 코너라는 점은 골목 초입에서 건물이 인지될 수 있어서 장점이라 할만했다. 건물에 좋은 얼굴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를 적극적으로 대입한다면, 골목에서부터 사람들을 끌어들일 매력과 주목성을 가질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열린 건물 지하 1층~지상 2층인 Y2 빌딩은 건물 전면에 개방성을 강조하는 디자인 요소..
2023.03.17 -
핀오크 백암 2022.9
Pinoak Baegam 핀오크 백암은 용인 근교에 위치한,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상업 공간이다. 약 8600제곱미터(2,600평) 규모의 대지에 세 개의 동이 자리 잡고 있다. 단지 진입부에 위치한 온 더 테이블은 다양한 F&B로 구성된 식문화 중심의 상업공간이고, 정원생활바이오랑쥬리는 체험 또는 교육, 판매가 이루어지는 실내 외 가드닝 공간이다. 시간 정원은 일러스트레이터 작가 세 명의 전시공간과 작업실을 기반으로 한 카페 및 렌털 스튜디오이다. 핀오크 백암은 대지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건물, 건물 사이의 정원을 매개로 한다. 주변 자연과 대지에 조성되는 계획된 자연과의 관계, 자연과 건물의 관계 맺는 방식에 대한 고민의 결과이다. 거대한 매스가 자연과 관계 맺는 방식은 건물이 자연을 담는 배경으..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