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42)
-
[공간공감] “새로운 기회와 만나는 시간” 2025.1
A time to embrace new opportunities 새로운 한 해의 시작은 건축인에게 또 다른 가능성의 문이 열리는 순간이다. 빈 도화지 위에 첫 선을 긋듯, 그들은 공간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매 재료와 선, 빛의 흐름 속에는 책임감과 창의성이 깃들어야 한다. 올해도 건축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닌, 사람과 환경을 연결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도구임을 잊지 않으며, 더 나은 세상을 향해 작은 벽돌 하나를 쌓아간다. 우리는 마른땅 위에 높낮이를 창조하는 사람들이다. 길쭉청년 gilzook@designhunters.co.kr
2025.01.31 -
2025 신년인사_함께 만드는 미래,함께 성장하는 2025 2025.1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지난 한 해의 아쉬움은 뒤로 하고, 다가오는 한 해는 더 큰 기회가 넘치는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새해를 맞아 월간 건축사가 대한건축사협회 전국 시도건축사회 회원분들의 신년 메시지를 전합니다 서울특별시건축사회 남상득 건축사(주.씨엔 건축사사무소) 토닥토닥… 많이 힘들었고 모두 어려웠습니다. 지난 한해 우리는 잘 버티었고 견디었습니다. 그 인내와 기다림의 시간 위에 이제 열정과 도약의 새 날들을 맞이할 때입니다. 두 발을 땅에 힘차게 내딛고 희망이라는 새 꿈의 날개를 펼쳐야 합니다.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苟日新 日日新 又日新)의 마음으로, 날마다 새롭고 발전을 거듭하는 행복한 새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이규빈 건축사(주.자이라 건축사사무소) ‘건축사는 조..
2025.01.31 -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패시브 설계기법 2025.1
Passive Design Strategie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패시브 건축은 하자를 없애려는 노력의 산물 콘크리트는 단열재 대비 70%의 열손실 발생 지금 시점에서 모든 건축사가 알다시피 ‘패시브 설계기법’은 건축분야의 성능개선을 통해 탄소저감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통칭한다. 이 글은 이 ‘패시브설계기법이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내용은 이런 것이다’라는 식상한 이야기를 또다시 하기보다는, 수십 년간 반복되고 있고 앞으로도 개선의 여지가 별로 보이지 않는 ‘하자’를 다루고자 한다. 패시브설계기법에서 하자부터 이야기하는 것은 ‘패시브건축물은 건축물의 기본적인 하자를 없애려는 노력의 산물’이기 때문이며, 이 길이 지속가능한 건축으로 가는 가장 올바른 길..
2025.01.31 -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인증제도의 개선 2025.1
Improving Sustainable Architecture Certifications 건물 운영단계에서 에너지 절감 성능 보장 필요 국민의 에너지 비용 부담 줄이고 쾌적한 환경 제공하는 건축 방안 마련해야 2015년 국제사회는 파리기후협정을 통해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050년까지 1.5도 이내로 억제하기로 협약한 바 있다.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는 지난 11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서 2024년 1∼9월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1850∼1900년)과 비교하여 1.54도 상승하였다고 발표하였다. WMO는 2024년의 1.54도 상승은 일시적인 현상이라서 파리 기후협정이..
2025.01.31 -
새로운 미래를 건설하는 목조건축 2025.1
Building a new future with timber framing “산림, 목재, 건축 분야 협력 강화 필요 성능 표준화와 재정적 인센티브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목재 활용 촉진해야 인간은 살아있는 생태계의 일부로, 지구 생태계는 수백만 년 동안 다양한 생물들과의 순환을 통해 공존해 왔다. 이러한 생태계가 이루는 순환 경제에서는 과잉 탄소 배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대 건축은 생산, 소비, 폐기까지 직선형 구조를 따르는 선형 경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 생태계의 순환 궤도에서 벗어난 경제 구조라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건축 자재의 대부분은 재생 불가능하고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자재로, 일회성으로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건물의 건설, 사용, 철거 과정에서 탄..
2025.01.31 -
“건축사의 손길로 희망을 이어갑니다” 건축사 윤중석 2025.1
“Continuing Hope with the Hands of Architects” 마포구지역건축사회, 열악한 주거 환경 개선 위해 따뜻한 나눔 실천 20년 전통 이어온 재능기부, 지역사회에 희망 전해 11월의 마지막 주, 서울특별시건축사회 마포구지역건축사회가 마포구청과 함께 진행한 ‘2024 사랑의 집 고쳐주기’가 28일과 29일 양일간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건축사의 재능기부와 후원사의 지원으로,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기초생활수급대상자 가정이 새 삶의 터전을 얻게 됐다. 20년 넘게 이어진 나눔의 전통 마포구지역건축사회는 20여 년 전부터 시작된 이 행사를 통해 마포구 내 어려운 이웃들의 주거 환경 개선에 힘써왔다. 윤중석 마포구지역건축사회 회장(종합건축사사무소 중원)은 “지역사회 ..
2025.01.31